카테고리 없음
자주하는 세금 문의 TOP 10
투자하고싶다
2023. 12. 16. 09:30
세금은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분야입니다. 따라서, 세금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는 것은 당연합니다. 이 글에서는 대한민국 국민들이 자주 하는 세금 문의 TOP 10을 정리하고, 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합니다.
1. 연말정산은 언제, 어떻게 해야 하나요?
연말정산은 직장인이 한 해 동안 낸 세금을 정산하여 환급이나 추가 납부를 하는 절차입니다. 연말정산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소득과 세액을 기준으로 합니다.
연말정산은 회사에서 대신 처리해 주지만, 근로자는 다음과 같은 서류를 준비하여 회사에 제출해야 합니다.
-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
- 주택청약종합저축·장기주택저당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세액공제신고서
- 교육비·체크카드 등 소득공제신고서
- 의료비·산후조리비 등 세액공제신고서
- 연금저축·보험료 등 세액공제신고서
연말정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. 종합소득세 신고는 언제, 어떻게 해야 하나요?
종합소득세 신고는 개인이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세금을 내는 절차입니다.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근로소득이 있는 자
- 사업소득이 있는 자
- 기타 소득이 있는 자
종합소득세 신고는 매년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전자신고 또는 홈택스에서 할 수 있습니다.
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. 종합소득세 신고 시,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은 어떤 것이 있나요?
종합소득세 신고 시, 다음과 같은 항목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- 인적공제
- 배우자공제
- 부양가족공제
- 연금보험료공제
- 의료비공제
- 교육비공제
- 기부금공제
- 소득공제
- 신용카드소득공제
- 현금영수증소득공제
- 주택자금공제
- 퇴직연금계좌세액공제
- 연금저축세액공제
- 보험료세액공제
- 기타소득공제
종합소득세 신고 시,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은 매우 다양하므로, 본인의 상황에 맞게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4. 퇴직금은 어떻게 계산되나요?
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직할 때 회사에서 받는 돈입니다. 퇴직금은 근로자가 회사에 근무한 기간과 연봉에 따라 계산됩니다.
퇴직금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.
퇴직금 = (근속연수 * 평균임금 * 퇴직금 산정률)
- 근속연수
- 근로자가 회사에 근무한 기간을 말합니다.
- 평균임금
- 근로자가 퇴직하기 전 3개월 동안의 임금을 합산하여 3으로 나눈 금액을 말합니다.
- 퇴직금 산정률
- 근로자의 근속연수에 따라 정해지는 비율을 말합니다.